2025년 상반기 경기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 신청방법
경기도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은 경기도에 1년 이상 거주한 대학(원) 재학생, 휴학생, 미취업 졸업생에게 제공됩니다. 지원 대상자는 경기도 거주 조건과 졸업 후 10년 이내인 대학생, 대학원생, 또는 취업하지 않은 졸업생입니다. 지원 금액은 2010년 2학기부터 2024년 2학기까지 발생한 이자이며, 중복 지원은 불가합니다. 지원은 대출 원리금에서 이자만큼 상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신청은 경기민원24를 통해 1월 2일부터 2월 14일까지 가능하며,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초본, 학적 관련 서류,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등입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13~18세 청소년이라면 교통비 지원 최대 12만원 지원
경기도의 딸 "경딸"입니다. 오늘 글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13~18세 청소년이라면 최대 12만을 받을 수 있는 교통비 지원 사업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앞으로 경기도의 다양한 정보를 낱낱
essay7989.tistory.com
1. 지원 대상자
1.1. 지원 대상
경기도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대학(원) 재학생, 휴학생, 또는 미취업 졸업생에게 제공됩니다.
- 경기도 거주 조건: 신청자 본인 또는 직계존속(부모 등) 중 1명이 1년 이상 경기도에 거주 (2024년 1월 2일부터 2025년 1월 2일까지 계속 거주)
- 학력 조건:
- 대학생 및 대학원생: 현재 대학(원) 재학 중이거나 휴학생, 졸업 후 10년 이내인 사람(대학 2015년 1월 2일 이후 졸업, 대학원 2021년 1월 2일 이후 졸업)
- 미취업 졸업생: 졸업 후 직장가입자로 건강보험 가입자가 아닌 경우 지원 가능
1.2. 지원 제외 조건
- 취업자 제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에 직장가입자로 등록된 경우, 취업자로 간주되어 지원에서 제외됩니다.
- 중복 지원 불가: 타 기관이나 지자체에서 지원받은 학자금 대출 이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지원 내용
2.1. 지원 금액
- 이자 지원: 2010년 2학기부터 2024년 2학기까지 대출받은 학자금의 2024년 하반기(7월 ~ 12월)에 발생한 이자 금액을 지원합니다.
2.2. 지원 방법
- 상환 방식: 발생한 이자금액만큼 대출 원리금에서 상환하는 방식으로 지원됩니다. 한국장학재단 대출계좌로 원리금을 상환해야 하며, 지원금 입금 전 상환이 완료되면 이자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 중복 지원 불가: 타 기관 및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과 중복하여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2.3. 결과 발표 및 이자 지급
- 결과 발표 시점: 7월 말 예정(변동 가능)
- 이자 지급 방법: 지원 금액은 한국장학재단 대출계좌로 입금되며, 지원 내역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남도 북도 나누는 기준 31개 지역 중 인구가 많은 도시는?
경기도의 딸 "경딸"입니다. 오늘 첫번째 글은 경기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입니다.앞으로 경기도의 모든 정보를 꼼꼼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경기도 기회소득 혜택 바로 확인 " data-ke-type="html">H
essay7989.tistory.com
3. 신청 방법
3.1. 신청 방법
- 신청 플랫폼: 경기민원24 신청 가능합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1월 2일 10:00부터 2월 14일 18:00까지
3.2. 서류 제출
-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동의하지 않으면 직접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가림 처리하여 제출합니다.
- 서류 제출 시 유의사항: 제출 서류와 관련된 비용은 신청자가 부담하며, 서류 오기입 및 미제출로 인한 책임은 신청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4. 제출서류
4.1. 제출 서류
- 공고일 이후 발급된 서류만 인정됩니다. 발급일, 신청자 및 발급 주체가 명시되어야 합니다.
- 주민등록초본: 경기도 거주 1년 이상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만약 본인이 거주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직계존속의 주민등록초본과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 학적 관련 서류:
- 재학/휴학증명서: 2024년 2학기 재학 혹은 휴학 중임을 증명하는 서류
- 졸업/수료증명서: 졸업 혹은 수료일자가 명시된 서류 (대학은 2015년 1월 2일 이후, 대학원은 2021년 1월 2일 이후 졸업자)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직장가입자는 제외되며, 미가입자는 의료급여수급자증명서 추가 제출
4.2. 서류 제출 방법
- 서류는 정식 발급된 서류, 직인 있는 서류만 인정됩니다. "열람용" 서류는 인정되지 않습니다.